"changes to the underlying protocol." msgstr "" "인스크립션은 MIME 유형이라고도 하는 콘텐츠 유형과 임의의 바이트 문자열" "(string)인 콘텐츠로 구성된다. 이는 웹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데이터 모델이" "며, 인스크립션 콘텐츠가 웹과 함께 진화하여 기본 프로토콜을 변경하지 않고도 " "웹 브라우저에서 지원하는 모든 종류의 콘텐츠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 /workspaces/ord_ko/docs/src/faq.md:212 msgid "RGB and Taro assets?" msgstr "RGB 및 타로(Taro) 자산?" #: /workspaces/ord_ko/docs/src/faq.md:214 msgid "" "RGB and Taro are both second-layer asset protocols built on Bitcoin. " "Compared to inscriptions, they are much more complicated, but much more " "featureful." msgstr "" "RGB와 타로는 모두 비트코인에 기반한 레이어2 자산 프로토콜이다. 인스크립션과 " "비교하면 훨씬 더 복잡하지만 훨씬 더 많은 기능을 갖추고 있다." #: /workspaces/ord_ko/docs/src/faq.md:217 msgid "" "Ordinal theory has been designed from the ground up for digital artifacts, " "whereas the primary use-case of RGB and Taro are fungible tokens, so the " "user experience for inscriptions is likely to be simpler and more polished " "than the user experience for RGB and Taro NFTs." msgstr "" "오디널 이론은 처음부터 디지털 아티팩트를 위해 설계된 반면, RGB와 타로의 주요 "